홍콩 달러 상승, 2025년 들어 최대 4일간 상승폭 기록 — 7.79까지 반등

2025-08-20
소개

홍콩 달러 상승은 8월 들어 본토발 주식 자금 유입, 강세를 보인 HIBOR, 그리고 포지션 청산의 영향으로 7.79까지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강세 흐름이 과연 7.75~7.85의 고정 환율 밴드 내에서 지속될 수 있을까요?

홍콩 달러 상승은 8월 중순 들어 두드러졌습니다. USD/HKD 환율은 2025년 8월 19일 약 3개월 만에 가장 강한 수준인 7.79까지 하락한 뒤, 8월 20일에는 7.80선을 소폭 상회했습니다. 이러한 홍콩 달러 상승은 그 배경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며, 연동환율제(LERS)가 자본 흐름 압력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이 같은 강세가 지속 가능한지를 둘러싼 논의를 촉발했습니다. 본문에서는 이번 급등의 메커니즘, 주식 자금 유입 및 유동성의 역할, 그리고 홍콩 금융관리국(HKMA)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적 신호에 대해 상세히 분석합니다.


홍콩 달러 상승의 직접적 요인

HKDUSD Rate Chnage over the 5 Days


1. 본토발 주식 자금 유입 가속화
중국 본토 투자자들의 Southbound Stock Connect를 통한 홍콩 주식 매수세가 8월 중순 급증했습니다. 특히 8월 15일에는 순매수 규모가 359억 홍콩달러로, 사상 최대 일일 순매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수요는 매수 대금을 마련하기 위한 홍콩 달러 매입으로 이어졌고, 이는 환율 상승(USD/HKD 하락)을 유도하며 홍콩 달러 강세를 촉발했습니다.


2. HIBOR 상승 및 캐리 거래 축소
홍콩 시장 내 유동성 경색으로 HIBOR가 상승하면서, 홍콩 달러와 미국 달러 간 금리 차이가 축소되었습니다. 이는 기존의 홍콩 달러 약세를 유도했던 캐리트레이드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환율을 고정 밴드의 강세 쪽으로 이동시켰습니다.


3. USD/HKD 포지션 정리
주식 수요와 금리 상승에 따라 USD/HKD 롱 포지션이 일부 청산되면서 환율은 고정 밴드의 중심인 7.80 부근까지 급반등했습니다. 이는 기술적 조정 또는 숏 스퀴즈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연동환율제도(LERS) 내의 조정 메커니즘


홍콩은 연동환율제도(Linked Exchange Rate System)를 통해 USD 대비 7.75~7.85의 환율 밴드를 유지하고 있으며, HKMA(홍콩금융관리국)는 이를 관리합니다.


  • 환율이 강세(7.75 방향)로 치우칠 경우 → HKMA는 USD를 매수하고 HKD를 시장에 공급합니다 → 유동성 증가 → 금리 하락


  • 환율이 약세(7.85 방향)로 이동할 경우 → HKMA는 HKD를 매입하고 USD를 시장에 공급합니다 → 유동성 축소 → 금리 상승


2025년 2~3분기 동안, HKMA는 고정 환율 강세 구간(CU)을 네 차례 발동했으며, 이에 따라 총 1,294억 홍콩달러가 시장에 공급되었고, Aggregate Balance(총 유동성)는 일시적으로 1,740억 HKD까지 상승했습니다. 이후 8월에 들어서는 다시 긴축 국면으로 전환되었습니다.


홍콩 달러 상승, 지속 가능할까?

Hong Kong Dollar


핵심 변수 요약


  • 미국 연준의 금리 방향
    만약 연준이 기준금리를 조기에 인하한다면, 달러 약세와 함께 홍콩 달러 강세 요인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고금리 기조가 지속된다면, 다시 한 번 홍콩 달러 약세 압력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 중국 본토 자금 흐름의 지속성
    중국 투자자들의 홍콩 주식 매수세가 유지된다면, 홍콩 달러에 대한 구조적 수요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중기적으로 홍콩 달러 상승세를 지지할 수 있습니다.


  • HKMA의 유동성 운용
    Aggregate Balance 및 HIBOR의 변동은 환율 방향성과 직접 연결됩니다. 일일 HKMA 데이터는 실시간 유동성 상황을 판단하는 중요한 선행 지표입니다.


기본 시나리오: 박스권 내 등락 지속


연동환율제도의 특성과 미국 및 중국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향후 홍콩 달러는 7.75~7.85의 고정 밴드 내에서 상·하방 양방향 움직임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식 자금 유입이 이어지면 강세, 글로벌 달러 강세 및 금리 차 확대 시에는 약세로 기울 수 있습니다.


실무자용 관찰 포인트


  • Southbound 순매수 데이터 (HKEX 및 보도자료 참고)


  • HKMA Aggregate Balance 및 CU 발동 여부


  • HIBOR–SOFR 스프레드 → 캐리 거래 유인 판단 지표


  • 미국 연준 정책 및 중국 성장률 관련 주요 뉴스


결론


2025년 8월의 홍콩 달러 상승은 고정환율제의 구조적 변화가 아닌, 자본 유입과 금리 상승, 포지션 정리의 결과로 이해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환율 밴드 내에서 발생한 정상적인 반응으로, HKD의 구조적 방향 전환으로 해석할 근거는 제한적입니다.


앞으로도 홍콩 달러는 7.75~7.85의 밴드 내에서 등락할 가능성이 높으며, 특정 시기에는 주식 자금 유입 및 금리 여건 변화에 따라 일시적 강세 국면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면책 조항: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의존해야 할 금융, 투자 또는 기타 조언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며, 그렇게 간주되어서도 안 됩니다. 본 자료에 제시된 어떠한 의견도 EBC 또는 저자가 특정 투자, 증권, 거래 또는 투자 전략이 특정 개인에게 적합하다고 권고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ASX 200 사상 최고치: 시장에 주는 의미

ASX 200 사상 최고치: 시장에 주는 의미

호주 증시 대표 지수인 ASX 200이 역사상 처음으로 9,000포인트를 돌파했습니다. 이번 기록은 금리 인하, 은행 실적 호조, 글로벌 무역 긴장 완화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됩니다.

2025-08-22
러시아 대규모 공습 이후 가스 가격 급등

러시아 대규모 공습 이후 가스 가격 급등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평화 기대가 약화되면서 위험 프리미엄이 확대되어, 유가가 2주 연속 하락세를 마무리할 전망이다.

2025-08-22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평화 프리미엄'은 아직 요원한가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평화 프리미엄'은 아직 요원한가

알래스카에서 대규모 회담이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EBC는 뚜렷한 진전이 없었다고 지적하며 석유·곡물·안전자산 전반에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2025-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