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 달러, 1.71% 급등하며 4년 만에 최고치 경신

2025-06-30
소개

유로 달러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유가 하락, 그리고 유로존의 강력한 재정 지표에 힘입어 4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했습니다. 현재 무역 협상이 주요 관심사입니다.

유로 달러 환율이 지난주 1.71% 상승하며 약 4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번 상승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완화, 연준의 비둘기파적 신호, 유로존의 재정 확장 기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입니다.

중동 휴전으로 유로 달러 강세 심화


EUR to USD


가장 큰 상승 요인 중 하나는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휴전 협정이었습니다. 6월 23일 체결된 이 합의는 유가 급락을 초래하며 에너지 수입국인 유럽연합에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유로 달러 강세는 인플레이션 부담 감소와 함께 유럽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투자자들의 유로화 수요를 자극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가 유로 달러 환율에 영향


연준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금리 인하 가능성이 확대되며, 미국 달러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환율은 더욱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시장에서는 올해 금리 인하 횟수를 2회에서 3회로 상향 조정했으며, 9월 인하 가능성은 93% 이상으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반면 유럽중앙은행은 보다 보수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면서 유로 달러의 추가 상승에 힘을 보탰습니다.


유로존 재정 확대가 환율 상승 뒷받침


독일을 비롯한 유럽 주요 국가들은 향후 4년간 재정 적자 확대와 국방비 증액을 발표하며 경기 부양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이는 유로 달러의 상승 심리를 자극하는 재료로 작용했습니다.


경제 성장과 안보 강화라는 복합적인 정책 신호는 투자자들로 하여금 유로존 경제에 대한 신뢰를 높이게 만들며, 유로 달러 환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시장은 유로 달러 1.20 돌파 가능성 주목

최근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환율이 1.20을 돌파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콜옵션 가격 상승은 기관 투자자들이 유로 달러 강세를 확신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1.17 저항선을 돌파한 유로 달러 환율은 추가 상승 여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다만, 과매수 신호가 감지되는 만큼 단기 조정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하락 시에는 1.152의 21일 이동평균선이 지지선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향후 변수: 미-EU 무역 협상과 미국 고용지표

7월 9일로 예정된 미국-EU 관세 마감 시한이 임박하면서, 무역 협상의 향방이 환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번 주 발표될 미국의 비농업 고용지표(NFP)도 중요한 변수입니다. 고용지표가 예상치를 하회할 경우 환율 상승을 지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강한 수치는 달러 강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결론: 추가 상승 여력 존재


유로 달러 환율은 현재 상승 모멘텀을 확보한 상태이며, 지정학적 안정과 금리 정책, 유럽의 재정 정책이 주요 지지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추세는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1.18~1.20 수준의 저항 돌파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다만, 무역 협상과 고용지표 등 외부 변수에 따라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유의가 필요합니다.


면책 조항: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의존해야 할 금융, 투자 또는 기타 조언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며, 그렇게 간주되어서도 안 됩니다. 본 자료에 제시된 어떠한 의견도 EBC 또는 저자가 특정 투자, 증권, 거래 또는 투자 전략이 특정 개인에게 적합하다고 권고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WTI, 미국 원유 가격 급등과 수요 우려로 하락

WTI, 미국 원유 가격 급등과 수요 우려로 하락

WTI는 미국 재고 증가, OPEC+ 생산량 증가, 중국 수요 둔화 징후, 불확실한 미국 무역 정책으로 인해 하락했습니다.

2025-07-03
미국 관세 소식에 베트남 주가 지수 1,400선 근접

미국 관세 소식에 베트남 주가 지수 1,400선 근접

베트남 VN 지수는 미국 무역 협정으로 수출품에 20% 관세가 부과되지만 베트남 시장은 미국 상품에 개방되면서 1,400에 육박했습니다. 주가는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025-07-03
NFP -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가 지연될 수 있다

NFP -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가 지연될 수 있다

미국 관세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5월 일자리 성장이 둔화되었고, 꾸준한 임금 성장으로 인해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2025-07-03